드보르작 교향곡 8번, 마리스 얀손스 &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2017. 5. 3. 03:19Classical Music




언제부터인지 얀손스는 RCO에서 음반으로 이미 발매했던 여러 레파토리들을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의 자체 레이블인 BR KLASSIK을 통해서 꾸준히 재탕하고 있다. 물론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음질면에서는 BR KLASSIK이 훨씬 월등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내 귀로 듣기에는 말이다. (RCO는 조금 답답한 감이 있다.) 

드보르작 교향곡 8번도 위에서 말한 바와 같다. 이미 RCO Live 를 통해서 드보르작 레퀴엠과 커플링되서 발매한 적이 있는 레파토리이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이번 드보르작 교향곡 8번의 완성도가 더 높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저번 RCO Live 의 음반은 메인 곡이 레퀴엠이었기 때문에 약간은 퀄리티가 떨어질수도 있다. 

가장 인상깊은 점은 얀손스가 펼쳐내는 비단결같은 유려함이 드보르작의 작품에서도 충분히 발휘된다는 것이다. 언뜻 생각해보면 드보르작은 얀손스의 스타일과 안어울린다고 생각하기 쉽다. 드보르작이 누구인가? 현란하고 때로는 변태스러우며 약간은 약에 취한듯한 맛깔나는 템포를 잘 살리면서 음악이 주는 즉흥적인 면을 잘 살려야하는 작곡가가 드보르작이다. 특히 이러한 점들은 후반부 작품들로 갈수록 짙어진다. (개인적으로 전반부는 다수의 평론가가 말하는 것처럼 브람스의 영향이 짙게 베어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특징때문에 아주 전통적인 드보르작을 얀손스가 들려주지는 않는다. 대신 한 잔의 잘 블렌딩된 라떼를 먹는 느낌으로 이 곡을 해석해낸다.

특히 4악장에서 보여주는 폭발력과 그 안에서 유지하고 있는 균형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라고 생각한다. 흔히 얀손스를 두고 슬라브적 전통을 가지고 있는 게르만 지휘자라고 하는데 개인적으로 이 4악장을 두고 한 말같다. 원래 곡을 발췌해서 듣지는 않는 편인데 유독 이 4악장만큼은 따로 듣는 편이다. 


이런 잘된 블렌딩은 숙! 의 세레나데에서 좀 더 짙게 나타나는 듯 한데 아무래도 현파트만 나와서 그런게 아닌가 싶다. 모든 현이 고르게 섞이되 서로를 방해하지 않으며 움직인다. 신기하다. 얀손스는 이제 장인인가보다.

숙의 세레나데또한 훌륭한 해석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곡의 인지도때문에 이 글을 쓰는 나도 별로 못들어봐서 자세하게 후기를 적지는 못하겠다. 그렇지만 잘 블렌딩된 라떼를 마시는 느낌은 여기서도  충분히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수록된 '카니발 서곡' 의 경우 4악장에서 얀손스가 보여준 스타일을 그대로 가져온 듯 하다. 각 성부의 균형을 잃지 않으면서 굉장히 세련되게 서곡을 이끌고 간다. 물론 여기에 서곡 자체가 가지고 있는 신나는 분위기를 저해한다는 비판도 있을 수 있지만 극도의 세련미가 이 비판을 충분히 덮고도 남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Since then, Jansson has been steadily resurrecting the various repertoires that have already been released on the recordings at RCO through the Bayern Radio Symphony Orchestra's own label, BR KLASSIK. Of course it is not wrong. This is because BR KLASSIK is far superior in terms of sound quality. At least to hear with my ears. (RCO has a little bit of a feeling of frustration.)

The Dvorak Symphony No. 8 is the same as above. It is a repertoire that has already been released by coupling with Dvorak Requiem through RCO Live. But personally I think that the completeness of this Dvorak Symphony No. 8 is higher. Maybe the record of the last RCO Live may be a little degraded because the main song was a requiem.

The most impressive point is that the silky smoothness that Jansson's unfolds is fully demonstrated in Dvorak's works. At first glance, it is easy to think that Dvorak does not fit the style of Jansson's. Who is Dvorak? Dvorak is a composer who has to make good use of the improvised side of music while making good use of the tempo which is glamorous, sometimes fickle, Especially, these points become thicker in later works. (I personally think that Brahms' influence is as heavily influenced by many critics in the first half.) Because of this feature, Jansson does not tell a very traditional Dvorak. Instead, he interprets this song with the feeling of eating a cup of well-blended latte.

In particular, the explosive power of the four movements and the balance it maintains are unmatched. It is a German conductor who has a tradition of Slavic tradition with Jansson. I do not listen to the excerpts of the original songs, but I listen to the four movements separately.


This well-blended blend is obsolete! I do not think that's what it is. All the strings are mixed evenly,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Miraculous. Jansson is now a craftsman.

Sookeun Serenade is also a good interpretation. However, because of the recognition of the song, I do not write much about it, so I can not write down the details in detail. But I think the feeling of drinking a well-blended latte is well maintained here.

The final "Carnival Overture" seems to have brought the style that Jansson showed in the fourth movement. Without losing the balance of each Father, he leads the prelude in a very sophisticated way. Of course, there may be criticism that it hinders the exciting atmosphere of the prelude itself, but I think extreme sophistication will be enough to cover this criti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