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크너 교향곡 7번 - 이반 피셔 &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2017. 5. 3. 17:02Classical Music



이 음반은 한 마디로 정리될 수 있을 듯 하다. '브루크너, 드보르작을 품다'


브루크너는 전형적인 독일-오스트리아 계통의 작곡가이다. 클래식을 어느정도 듣다보면 작곡가별로 패턴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데 브루크너는 그 중에서도 가장 판별하기 쉬운 패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패턴 - 브루크너 개시 - 은 자연스럽게 게르만 계통의 지휘자들에게 해석적인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그래서 지금도 명반이라고 회자되는 음반들을 봐보면 대부분이 게르만 계통의 지휘자들 혹은 악단이다. 카라얀과 베를린필을 필두로한 황금 함대, 반트 말년의 베를린필과 협연한 음반, 블룸슈테드의 전설적인 녹음 그리고 대망의 첼리비다케와 뮌헬필의 음반까지 왠만하면 전부 게르만 계통이다. 공통된 분모에서 저마다의 색깔을 입힌 브루크너가 지금까지 주를 이루어왔다.


그런데 이반 피셔는 이런 지금까지의 브루크너와는 상당히 다른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제일 먼저 느낄 수 있는 점은 빠른 템포이다. 1악장에서 4악장까지 다른 음반들보다 상당히 빠른 템포를 취하고 있다. 극단적으로 비교하면 첼리비다케의 경우 1시간 30분의 러닝타임을 자랑하지만 피셔는 57분으로 곡을 마친다. 아무리 빨라도 지금까지 1시간 이내로 이 곡을 마치는 지휘자는 못봤는데 신선한 쇼크였다. 한 가지 더 충격적이었던 것은 이 빠른 템포안에서도 더 빠른 템포와 상대적으로 느린 템포를 구별해가며 다이나믹을 완성시킨다. 이 부분은 4악장에서 가히 충격적일 정도로 등장한다.


또한 리듬감이 굉장히 강조된다. 브루크너의 작곡 스타일상 리듬감을 강조하기에는 조금 어렵다. 왜냐하면 긴 호흡을 가지고 꾸준히 밀고 나가야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피셔는 이 긴 호흡을 짧게 변경시켰고 그에 따라서 리듬감을 강조시킬 여유를 만들었다. 들으면 들을수록 브루크너에 헝가리 초원의 집시 문화를 대입한 듯한 느낌이 든다.


즉 리듬감을 표현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과감하게 템포를 당기면서 악센트, 붓점등을 조금 더 강하게 표현하고 그 외적인 부분에서는 피셔와 BFO가 그동안 보여주었던 Velvet Sound 를 브루크너의 선율미와 함께 관능적으로 풀어낸다. 


세부적으로 나눠보자면 1악장과 2악장에서는 그들의 Velvet Sound 가 조금 더 강하게 와닿고 3악장과 4악장에서는 드보르작같은 브루크너의 느낌이 강하게 와닿는다. 이런 해석에 대해서 골수 첼리비다케 신봉자들은 아마 도끼눈을 뜨고 신랄한 비난(비평이 아니다)을 하겠지만 나는 이런 새로운 해석이 그저 반가울 뿐이다. 그리고 이런 새로운 해석은 내가 이반 피셔를 좋아하는 이유중에 하나이다.



This record seems to be in one word. 'Bruchker, Dvorak'


Bruckner is a typical German-Austrian composer. When I listen to classical music, I notice that there are patterns for each composer, but Bruckner has the most discriminating patterns. And the pattern - Bruckner initiation - naturally benefited from the analytical point of view to the Germanic commanders. So if you look at the recordings that are still legendary recordings, most of them are Germanic commanders or band. The Golden Fleet, with Karajan and the Berlin Philharmonic, the recordings with the Berlin Philharmonic, the legendary recordings of Bloomsteadt, and the recordings of the most religious Celibidache and Münchner Philharmoniker are all Germanic. Bruckner, who painted his own color in a common denominator, has done so far.


Ivan Fischer, however, is a very different story from Bruckner. The first thing you can feel is the fast tempo. From the 1st movement to the 4th movement, it takes a much faster tempo than other recordings. In extreme comparison, Celibidache boasts an hour and a half of running time, but Fischer finishes the song in 57 minutes. Sooner or later, I could not see the conductor who finished this song in less than an hour, but it was fresh shock. One more striking thing is that even within this fast tempo, dynamics are accomplished by distinguishing between a faster tempo and a relatively slow tempo. This part appears to be shocking in the four movements.


The rhythm is also greatly emphasized. Bruckner's composition is a little hard to emphasize the rhythm of everyday life. Because I have to push forward with long breath. However, Fischer changed this long breath shortly, thereby creating a room to emphasize the rhythm. The more I listen to it, the more I feel like I have put the gypsy culture of Hungarian meadow in Bruckner.


In other words, in the part where rhythm can be expressed, boldly pushing the tempo while expressing the accent and brush light a little more strongly, and in the other part, the sound of Velvet Sound, which Fischer and BFO have shown in the past, is sensually solved with Bruckner's melodiousness.


In detail, their Velvet Sound touches a little more strongly in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and the Bruckner's feelings such as Dvorak in the third and fourth movements are strong. For this interpretation, fans of Celibidache will probably open their axes and make a bitter criticism (not a criticism), but I am just glad to see this new interpretation. And this new interpretation is one of the reasons I like Ivan Fis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