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5. 3. 17:01ㆍClassical Music
모두가 손꼽아 기다렸던 음반이 아닐까 싶다. 왠만하면 쇼팽 콩쿨 실황 음반이 이 음반에 앞서서 발매될 줄 알았는데 속만 태우더니 이제서야 조성진의 쇼팽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얄팍하게 음반의 끝을 폴로네이즈로 장식하는 상술을 다시 DG에서 보고싶지는 않다.
조성진의 가장 큰 장점은 튼튼한 기본기이다. 다수가 그렇게 이야기하고 나 또한 그에 동의한다. 그렇지만 이것은 장점인 동시에 단점으로 지적받고는 한다. 바로 기본기에 집중하다보니 자신의 개성을 강하게 드러낼 수 있는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지난 쇼팽 콩쿨을 되돌아보면 이에 대한 예지는 어느정도 맞다. 조성진만큼 안정적으로 무대를 이끌어나가는 피아니스트는 없었다. 그렇지만 동시에 무대에서 '내가 바로 조성진이다!' 라고 크게 어필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나는 이런 부분에 대해서 아직 조성진이라는 피아니스트는 엄청 젊고 향후 연주 활동을 이어나가는 과정에서 충분히 자기 스타일을 확립할 수 있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본다. 오히려 튼튼한 기본기는 길게보면 훌륭한 자산으로 가져갈 수 있지 않을까? 누구처럼 명성을 얻은 후에 미스 터치와 그저 자기 느낌대로 건반을 두둔기는 것보다는 이 방향이 훨씬 낫다.
이런 튼튼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꽤 흥미있는 앨범이 출시되었다. 반주자를 노세다로 선택했다. 노세다의 반주는 지금까지 내가 들어본 음반의 그 어떤 반주보다도 더욱 담백하고 날렵하다. 지메르만의 음반에서 보여주는 반주의 대척점에 있는 반주가 이것이 아닐까 싶다. 이런 점은 음반이 시작 부분부터 강하게 와닿는다. 마치 반주에 머무르지 않고 이 곡을 구성하는 또다른 요소라는 것을 강하게 어필하는 듯이 말이다. 그렇게 진행하다가 조성진에게 바통을 넘겨준다. 조성진은 정확한 타건을 바탕으로 상당히 서정적인 멜로디를 구현하는데 여타 다른 유명 연주자의 쇼팽의 서정성에 뒷쳐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그의 이런 서정성은 정확하고 또렷한 타건과 큰 대비를 이루면서 더욱 심화된다.
1악장과 2악장은 서정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서 이런 점이 잘 부각되지만 3악장은 상대적으로 서정적이기보다는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어서 앞에서 보여주었던 파괴력을 많이 보여주지는 못하는 듯 하다. 그렇지만 반대로 이 악장을 위해서 앞의 1악장과 2악장의 컨셉을 바꿨다면 훨씬 설득력이 떨어지는 연주가 되었을 것이다.
3악장의 아쉬움은 뒤이어 나오는 발라드를 통해서 충분히 만회하고도 남으니 협주곡이 끝났다고 정지하지 말고 끝까지 들어보시길 바란다. 아울러 DG측에서도 이 음반에 대해 상당히 많은 공을 들이는 듯 하다. 발라드에 대해서 따로 유튜브 영상이 업로드되고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찾아서 봐주길 바란다. 조성진이 자신이 생각하는 쇼팽의 발라드를 이야기해준다.
I hope everyone is waiting for the record. I thought it was going to be released ahead of this album, but I was able to hear Chopin of Seong-jin Cho. I do not want to see the details of decorating the end of the record with polonaise.
The greatest strength of Seong-jin Cho is the strong base. Many say so and I also agree with them. However, this is both an advantage and a disadvantage. If you concentrate on the basics, there is no room for you to reveal your personality. Looking back on the past Chopin competition, the prediction is somewhat correct. There was no pianist to lead the stage as steady as Seong-jin Cho. But at the same time, "I am Seong-jin Cho right!" I did not appeal so much. However, I think that the pianist named Seong-jin Cho is still very young and I can establish my own style enough in the process of continuing his performance in the future. On the contrary, can a strong basis be taken with great asse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getting a reputation like anyone, this direction is much better than a miss touch and a feeling of just putting the keyboard in your own sense.
Based on this strong base, a very interesting album was released. I chose the accompanist as Noseda. Noseda 's accompaniment is so much cheerful than any other accompaniment I've ever heard. I think this is the accompanimen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ccompaniment that Jimmerman's music shows. This makes the record strong from the beginning. As if it does not stay in the accompaniment and strongly appeals to be another element of this song. He then proceeds to hand over baton to. Seong-jin Cho thinks that it is not lagging behind the lyricism of other famous musicians, Chopin, to produce a fairly lyrical melody based on correct tag. Rather, his lyricism is deepened with great contrast with precise and clear.
The first movement and the second movement have a lot of points that can maximize the lyricism, but the third movement is rather lyrical rather than lyrical, so it does not seem to show much of the destructive power shown before. On the contrary, if you change the concept of the first movement and the second movement for this movement, it would have been much less convincing.
The regret of the 3rd movement is enough to make up for it through the following ballads. Please do not stop that concerto is over. In addition, the DG side seems to pay a lot of the efffort about this record. We are uploading a separate YouTube video for Ballard. Seong-jin Cho tells the ballad of his thought.
'Classical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람스 교향곡 4번 - 정명훈 &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0) | 2017.05.03 |
---|---|
슈만 교향곡 전집 - 사이먼 래틀 경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0) | 2017.05.03 |
브루크너 교향곡 7번 - 이반 피셔 &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0) | 2017.05.03 |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 오스모 벤스케 & 미네소타 오케스트라 (0) | 2017.05.03 |
드보르작 교향곡 8번, 마리스 얀손스 &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0) | 2017.05.03 |